기타

런던 RX-7/S2 브레이크 밸런스 세팅 잡담

by Chauffeur Kim posted May 13, 2008 Views 4996 Likes 0 Replies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이번 타임어택은 모두 동일한 조건이긴 한데 TCS와 ABS, 그리고 브레이크밸런스
까지는 조정이 됩니다.

퀵튠 메뉴는 없지만 레이스 중에 퀵튠 버튼을 눌러서 조절이 가능하죠.
(옵션에서 휠 버튼 설정을 하면 됩니다. 하는 법은
http://gran-turismo.co.kr/bbs/zboard.php?id=gt5p_bbs&page=2&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28
참고해보세요)



TCS를 켜고 하는 분은 거의 없으실테고 ABS는 켜거나 끄고 하시는 분도 많으실거 같은데

브레이크 밸런스에 관한 잡담을 해볼까 합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려서 브레이크 밸런스를 어떻게 해야 가장 직선 제동거리가 짧을까

여러 수치를 대입해가며 시험해 본 결과

RX-7/S2, ABS OFF일때 프론트/리어 = 5/10 일때가 가장 빨리 서더군요.

(스즈카 시작하자마자 90->0 제동,기어는 변속없이 1단)

하지만 이 수치는 풀브레이크를 하면 타이어가 락 되므로 컨트롤이 어렵기 때문에

풀브레이크를 해도 락이 안되고 제일 빨리 서는 최고 수치는 F/R = 3/6 정도였습니다.
(3/6으로 풀브레이크 일때보다 5/10으로 하프브레이크 일때가 조금은 더 빨리 섰습니다.)

왜 리어의 수치가 이렇게 높은냐 하면 차의 기본 브레이크 세팅이 리어가 매우 약합니다.

그래서 기본 5/5의 수치로 브레이크를 밟으면 프론트만 락이 되고 리어는 락이 잘 되지않고

리어의 수치를 많이 올려줘야 브레이킹시 리어도 락이 될 정도의 제동력을

가지게 되어 결국 4륜이 모두 타이어가 잠기기 직전까지 제동력을 발휘하게 되니

제동거리가 더 짧아지게 되더군요.

그런데 이거는 단순히 직진 제동에서만 이런거고 주행중 엔진브레이크가 걸리게 되면

경우에 따라서는 리어가 먼저 잠기게 되어 매우 쉽게 스핀해버리더군요.

그래서 별로 실용적이지가 않고 코스를 돌면서 종종 들어가는 엔진브레이크를

감안해서 리어를 적절히 낮춰줘야 합니다.



결론

ABS OFF일때 단순직진 제동거리는 5/10일때가 가장 짧다. (RX-7 S2 타이어,90->0 변속없이 1단 기준)

하지만 하프브레이킹이 어려울 경우 3/6정도로 세팅하면 풀브레이킹을 해도 타이어 락이 되지 않는다.

단, 제동시 기어변속을 통한 엔진브레이크가 걸리게 되는 경우

리어 제동력이 증가해서 5/10(3/6)은 좋지않다. 스핀하지 않을정도로 리어수치를 낮춰줘야 한다.

ABS ON 의 경우 단순직진 제동거리는 ABS OFF 5/10 일때보다 미세하게 길었습니다.

큰 차이는 없는데 제동거리 보다는 컨트롤의 차이가 클거 같군요.


(내용 추가)

처음에 ABS OFF일때 5/10이 가장 제동거리가 짧다고 했지만 엔진브레이크를

감안하여 5/6 정도로 세팅을 했다고 칩시다.

5/6 정도로 세팅을 해서 브레이크를 타이어 락 되기 직전 지점까지 밟아가며

빠른 주행을 했다 칩시다.

그런데 플레이어가 느끼기에 브레이크 페달을 좀 깊게 밟아주는게 불편해서

살살 밟아주고 싶다고 칩시다. 그러면 프론트 수치를 올려야겠죠.

그러면 좀 더 살살 밟아도 될테니까요. 이렇게 되면 리어 수치도 같이 올려줘야죠.

그래서 프론트를 2정도 올려 7로 해주고 리어는 1정도 올려 7로 했다고 칩시다.

그랬더니 기록도 괜찮고 페달 워크에도 편리한 값이라고 생각된다면

7/7이란 값이 나에게 맞는 값이라는 말이죠.


이상 도움이 되기 보단 혼란만 가중시킨거 같은 팁 이었습니다. (교란작전중 ㅎㅎ)



Articles

1 2 3 4 5 6 7 8 9